수상자

김진형
서울신흥초등학교


수상소감

학교현장에서 이뤄지는 다양한 임상적인 활동을 소개할 수 있어서 감사드립니다. 창의교육이란 주제하에 단순히 과목별 융합이 아닌 학생들이 접하는 학교생활 전반적인 성장과 변화로서 이끌어 갈수 있는 원동력으로 연구를 적극 지원해 주신 교장선생님을 비롯한 동료 선생님들께 이번 수상의 공을 돌립니다. 미래를 개척하고 조금더 발전하는 내일을 꿈꿀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 주신 숙명여자대학교 창의융합 디자인연구소가 나날이 번창하길 기원하며 주위에 학술지를 널리알려 많은 현장 연구자들이 참여 할 수 있는 기회가 되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이력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과


논문

초록
창의 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초등학교 프로젝트 학습법 적용을 통해 학생 콘텐츠 창작활동을 돕는 3C 단계를 구성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3C 영역은 신기술 체험영역(Challenge), 디지털 도구 수업영역 (Class On), 콘텐츠 창작영역(Creator)으로 설정하고 아이디어를 구상하고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집단과 소통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하였다. 5, 6 학년 각 5 개 학급 학생들을 대상으로 디지털 기기 친숙도 및 사전조사를 실시하였고, 코로나 19 로 인하여 원격학습을 병행 진행하되 기본플랫폼인, E 학습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구글 클래스룸과 줌, 그리고 유튜브 채널을 추가 개설 하였음. 또한 창의동아리를 조직하여, 원격학습에서 부족한 체험활동을 꾸준히 실시한 결과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학부모 교육 상황에 맞는 연수를 온오프라인에 걸쳐, 직접 실시하였으며, 교내 원격수업연구문화를 활성화하고 연구 조언 등 자체협의회를 평등한 토의를 통해 본 연구를 발전시키려 노력하였다. 2019 교육개발원에서 개발한 핵심역량측정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전사후결과를 분석, SPSS 12.0 사용하여 검증하였고, 신기술체험 및 이를 활용한 콘텐츠생산과정을 중심으로 한 프로젝트의 실행은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미래핵심역량 함양에 효과적이었다.
Abstract
The class was conducted by organizing the 3C stage to enable student content creation activities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project learning method to foster creative convergence talent. The 3C area was set up as a new technological experience area (Challenge), a digital tool class area (Class On), and a content creation area (Creator), and went through the stages of conceiving ideas and creating prototypes to communicate with the group. Digital device familiarity and pre-surveys were conducted on students of the 5th and 6th grades, and Google Classroom, Zoom, and YouTube channels were added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basic platform, the E-learning center, due to COVID-19. In addition, by organizing a creative club, it was intended to deduce the result of steadily conducting insufficient experiential activities in remote learning. Appropriate training for the education of parents was conducted online and offline, and this study was developed after a discussion by its council, including advice gleaned from research, to revitalize the culture of remote classes in schools. Using the core competency measurement test developed by the 2019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along with SPSS 12.0, pre-post results were analyzed and verified. Finally,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s centered on new technological experiences and content production processes were effective in cultivating core competencies for the future, in accordance with the revised 2015 curriculum.